전 각 |
불상(존상) |
불 화(탱화) |
내 용 |
대 웅 전 대웅보전 |
석가여래 삼세여래 (석가모니불, 아미타불, 약사여래불)
|
석가모니후불탱화, 영산호상도, 신중탱화, 지장탱화, 삼장탱화, 감로탱화, 삼불회도(삼세불화) |
석가모니부처님을 중심으로 직접 연관되는 각종의 내용들을 형상화 하여 봉안하였다. 부처님이 영축산에서 법화경을 설하셨던 장면이 바로 영산회상도의 내용이다. |
팔 상 전 영 상 전 |
석가여래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 |
석가모니후불탱화 팔상탱화 |
불교의 교조 석가모니부처님의 일대기를 팔상으로 묘사하여 모셨다. 1. 도솔래의상, 2. 비람강생상, 3. 사문유관상, 4. 유성출가상, 5. 설산수도상, 6. 수하항마상, 7. 녹원전법상, 8. 쌍림열반상
|
대적광전 화 엄 전 비 로 전 대광명전 |
비로자나불 노사나불 석가모니불 |
삼신불탱화 (법신, 보신, 화신) 7처9회 화엄변상도 |
진리 그 자체로서 우주의 본체인 진여 실상 등의 법신 비로자나부처님을 중심으로 보신 노사나불과 화신 석가모니불을 모셨다. |
극 락 전 아미타전 무량수전 수 광 전 |
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 (지장보살) |
아미타후불탱화 16관경변상도 아미타래영도 극락회상도 |
서방극락정토의 주불로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 (혹은 지장보살)을 거느리고 중생들의 무량수명과 광명을 보장하며 왕생극락을 보살펴 주시는 아미타부처님을 모셨다. |
약 사 전 |
약사여래 일광보살 월광보살 |
약사여래후불탱화 |
동방 약사우리광세계의 주불로서 질병 치료와 수명 연장, 재앙 소멸등을 통해 중생들을 제도하시는 약사여래부처님을 모셨다.
|
용 화 전 |
미륵불 법화림보살 대묘상보살 |
미륵용화정토탱화 미륵하생경변상도 |
석가모니부처님으로부터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를 받고 56억 7천만년 후 사바세계에 출현하여 중생들을 구제하기로 예정된 미륵부처님을 구현하여 봉안하였다.
|
천 불 전 불 조 전 |
53불 천불 삼천불 |
53불탱화 천불탱화 삼천불탱화 |
불교의 다불(多佛)사상에 입각하여 온 우주에 두루 주재하시는 모든 부처님들을 상징적으로 모셨다.
|
원 통 전 관 음 전 |
관세음보살 남순동자 해상용왕 |
성관음도 백의관음도 천수관음도 11면관음도 |
항상 중생들의 소리를 들으시고 관찰하시어, 온갖 고통에서 구제해주시는 대자재비의 관세음보살을 구현하였다. |
명 부 전 지 장 전 |
지장보살 도명존자 무독귀왕 지옥10왕 판관, 녹사, 사자, 귀왕, 나찰, 장군, 동자 |
지장탱화 지장10왕도 시왕지옥도 감로탱화(영단) |
석가모니부처님이 입멸하신 후 미륵부처님이 출현하실 때까지 6도에 몸을 나타내어 모든 지옥중생을 구제하기 전에는 결코 성불하지 않겠다고 서원한 지장보살을 모셨다. 또한 지옥의 10왕이 주제하는 지옥도와 극락왕생을 구현한 감로탱화등이 포함된다. |
응 진 전 나 한 전 |
석가모니불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 16나한 5백나한
|
석가모니후불탱화 16나한도 5백나한도 |
석가모니부처님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아 번뇌를 멸하고 세간에서 교법을 수호하고자 서원한 16불제자와 아리한과를 증득했던 500명의 성자들을 모셨다. |
조 사 전 불 조 전 |
조사상 33조사 |
진영탱화 (조사,국사,율사,선사) |
해당 사찰의 역사 등과 관련하여 커다란 업적을 남긴 역대의 큰스님들의 영정이나 존상을 모셨다.
|
산 신 각 |
산신 |
산신탱화 |
우리나라 전통신앙이 불교에 유입되면서 들어온 산신령을 모셨다.
|
칠 성 각 |
치성광여래불 일광보살 월광보살
|
칠성탱화 칠성여래도 각부탱화(칠원성군)
|
도교에서 불교에 유입되어 인간의 길·흉·화·복을 말한다고 하는 북두칠성을 모셨다.
|
독 성 각 |
나반존자 |
독성탱화 |
말세에 중생들이 의지할 복전이라 신앙되는 분인데, 16나한중의 한 분으로 본래의 이름은 빈도라발라사이며, 깍은 흰 머리카락과 긴 눈썹의 용모가 특징적으로 표현된다. |
종 각 |
범종, 법고, 운판, 목어 (불교의 4물) |
|
범종:지옥중생을 제도 법고:축생을 제도 운판:날짐승을 제도 목어:물고기를 제도
|
금 강 문 |
금강역사 문수, 보현 동자 |
문지기 그림 |
부처님의 가르침에 귀의하여 불교를 수호하기로 서원한 고대 인도신화의 두 신을 모셨다. 좌측:밀적금강, 우측:나라연금강
|
천 왕 문 |
사천왕 |
사천왕 탱화 |
욕계 6천의 4방을 다스리며 불법을 수호하는 천왕들을 모셨다. 동방:지국천왕, 남방:증장천왕, 서방:광목천왕, 북방:다문천왕.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