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한글맞춤법 ♬

국립국어원-한글맞춥법/문장 부호(이음표)


 
 

 
1. 줄표 (─) 이미 말한 내용을 다른 말로 부연하거나 보충함을 나타낸다.
(1) 문장 중간에 앞의 내용에 대해 부연하는 말이 끼어들 때 쓴다.
그 신동은 네 살에 ─ 보통 아이 같으면 천자문도 모를 나이에 ─ 벌써 시를 지었다.

(2) 앞의 말을 정정 또는 변명하는 말이 이어질 때 쓴다.
• 어머님께 말했다가 ─ 아니, 말씀드렸다가 ─ 꾸중만 들었다.
• 이건 내 것이니까 ─ 아니, 내가 처음 발견한 것이니까 ─ 절대로 양보할 수가 없다.
 
2. 붙임표(-)  
(1) 사전, 논문 등에서 합성어를 나타낼 적에, 또는 접사나 어미임을 나타낼 적에 쓴다.
겨울-나그네 불-구경 손-발
휘-날리다 슬기-롭다 -(으)ㄹ걸

(2) 외래어와 고유어 또는 한자어가 결합되는 경우에 쓴다.
나일론-실 디-장조 빛-에너지 염화-칼륨
 
3. 물결표(∼)  
(1) '내지'라는 뜻에 쓴다.
9 월 15 일 ∼ 9 월 25 일

(2) 어떤 말의 앞이나 뒤에 들어갈 말 대신 쓴다.
새마을:    ∼ 운동 ∼ 노래 - 가(家): 음악∼ 미술∼